별 문제가 다 있네..!


Ⅰ. OX 퀴즈

1. 나선은하는 팔의 벌어진 정도에 따라 Sa, Sb, Sc 등으로 분류되고, 타원은하는 장축,단축의 비에 따라 E0, E1, E2 등으로 분류된다. - O  

2. M13은 북반구 하늘에서 가장 밝고 큰 구상성단으로 헤라클레스자리에서 볼 수 있다. - O

3. 고감도 필름일수록 필름의 입자가 거칠고, 콘트라스트는 약하고 발색성은 좋다. - X
  ; 고감도 필름일수록 필름의 입자가 거칠고, 콘트라스트는 약하고 발색성은 나쁘다.

4. 여름철의 대삼각형은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독수리자리의 각 알파별이 세 꼭지점이 된다. - O  

5. 반사망원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에 의해 경통이 막혀 있으므로 공기의 출입이 없어 상이 매우 안정되어 있고 빛의 굴절에 의한 색수차 현상이 있다. 색지움렌즈를 사용해도 약간의 색수차가 남는다. - X
  ; 굴절망원경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에 의해 경통이 막혀 있으므로 공기의 출입이 없어 상이 매우 안정되어 있고 빛의 굴절에 의한 색수차 현상이 있다. 색지움렌즈를 사용해도 약간의 색수차가 남는다.

6. 목성의 위성은 이오, 에로우파, 가니메데, 칼리토스, 데이모스 등이 있다. - X
  ; 이오, 에로우파, 가니메데, 칼리토스은 목성의 위성이고 데이모스는 화성의 위성이다.

7. 도플러효과란 전자파 또는 소리의 방사원이 관측자에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 관측자가 측정하는 방사 파장이 본래의 방사원에서 나오는 파장과 차이가 난다는 현상을 말한다. - O

8. 여름에는 태양이 더 가깝다. - X
  ; 사실은 그것과는 정 반대다. 근일점(perihelion, 태양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점)의 위치는 대략 1월 1일로 겨울철이다. 원일점(aphelion)은 대략 7월 1일로 여름철이 된다. 그러나 이 근일점과 원일점의 차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의 3% 정도에 불과하므로 지구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다. 4계절이 생기는 원인은 황도와 적도가 23.5°기울어져 있어 연중 태양의 고도가 달라지기 때문이지 태양과의 거리차 때문이 아니다. 한편 남반구에서는 여름에 근일점이 되지만 연교차는 북반구가 훨씬 크다. 남반구에는 바다가 많아 이 바다가 기온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9. 추석 보름달은 다른 때보다 더 크다. - X
  ; 이것은 사람들이 더 클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보기 때문이지 사실이 그런 것은 아니다. 추석 때라도 달은 근지점에 올 수도 있고 원지점에 올 수도 있다. 따라서 추석이나 정월 대보름 등의 달이 더 크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전통적인 믿음에서 내려온 전설이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10. 전 하늘의 별자리의 갯수는 총 88개이고, 이 88개 별자리 전 별자리에 걸처 총 110개의 메시에 목록이 있습니다. - X
  ; 전 하늘의 별자리의 갯수는 총 88개이고 메시에 목록은 총 110개입니다. 그러나 메시에 대상이 있는 별자리는 총 34개이다.
  ·궁수 - 15, 처녀 - 11, 머리털 - 8, 땅꾼, 큰곰 - 7, 사냥개, 사자 - 5, 전갈 - 4
  ·물병, 안드로메다, 마차부, 오리온, 고물, 바다뱀 - 3
  ·황소, 뱀, 방패, 헤르쿨레스, 백조, 페르세우스, 게, 카시오페이아, 거문고 - 2
  ·페가수스, 여우, 염소, 삼각형, 쌍동이, 큰개, 외뿔소, 화살, 물고기, 고래, 토끼 - 1

11. 달이 뜰 때 더 커보이는 이유는 달과 관측자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기 때문이다. - x
  ; 달이 뜰때 커보이는 이유는 대기의 두께와 관련이 있습니다. 달이 뜨거나 질때의 위치는 지구대기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곳이고 남중하였을때는 두께가 가장 얇은 곳이죠... 그래서 대기가 두꺼운 곳에서 굴절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우리눈에 크게 보이는 겁니다.

12. 우리나라에서는 좀생이 별로 불리어졌고 맨눈으로도 5-6개를 볼 수 있는 황소자리의 산개성단은 플레이아데스이다. - O

13. 하늘에서의 별의 위치는 우리가 보는 것으로만 그칠 경우에는 실제 그 별이 우리에게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나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단지 천구상에서의 기준점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관계만 알면 된다. 이런 위치 관계는 각도로서 쉽게 나타낼 수 있는데, 이것은 별과 별 사이의 거리를 우리 눈과 두 별이 이루는 각도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 각도를 각거리라고 한다. - O

14. 계절에 관계 없이 항상 볼 수 있는 별을 주극성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위가 약 60°보다 높은 곳의 주극성으로 이루어진 큰곰, 작은곰, 카시오페아, 세페우스, 용자리, 거문고자리 등이 있다. - X
  ; 계절에 관계 없이 항상 볼 수 있는 별을 주극성이라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위가 약 60°보다 높은 곳의 주극성으로 이루어진 큰곰, 작은곰, 카시오페아, 세페우스, 용자리 등이 있다. 거문고자리는 여름철에 볼 수 있습니다.

15. 춘, 추분날 낮의 길이는 정확히 12시간이다. - X
  ; 천문학적인 춘, 추분날은 엄밀히 말해 태양의 황도상의 위치가 적도와 일치하는 점을 나타내는 것이지 낮과 밤의 길이가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서울 지방(37.5°N)의 경우 이 날의 낮의 길이는 대략 12시간 8분 정도이다. 이것은 지구에 대기가 있어 태양빛이 굴절률이 더 큰 매질 쪽으로 굴절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낮의 길이가 조금 더 길어지며, 그 차이는 고위도로 갈수록 커진다. 진공의 굴절률은 0이므로 공기가 조금이라도 있다면 빛은 안쪽으로 조금이라도 더 기울게 되어 있다. 또한 해가 수평선 위로 조금이라도 나와 있으면 낮으로 간주되므로 해의 크기만큼 낮이 길게 계산된다.

16. 유성 중에는 산발적으로 출현하는 것도 있으나, 유성군이나 유성우(雨)로서 집단적으로 출현하는 일도 있다. 이 유성우는 1년에 2,3번 정도 비정기적으로 나타난다. - X
  ; 유성 중에는 산발적으로 출현하는 것도 있으나, 유성군이나 유성우(雨)로서 집단적으로 출현하는 일도 있다. 유성군이나 유성우는, 지구가 그 궤도상의 어떤 특정 장소에 오면, 즉 매년 일정한 시기에 일어나는 것으로, 11월의 중순에 사자자리 방향에서 흘러나온다. 사자자리의 유성군은 특히 유명하여, 1866년에는 1시간에 1만개 이상이 보였다고 한다. 이 시기는 때마침 지구가 혜성의 궤도를 가로지르는 시기로서, 그 궤도상에 혜성의 꼬리 등에서 뿌려진 물질이 남아 있어, 그것이 유성이 된다고 말하고 있다.

17. 태양계에 있는 위성의 갯수는 화성에 2, 목성에 16, 토성에 17, 천왕성에 15, 해왕성에 8, 명왕성에 1, 지구에 1개의 위성이 발견되어 있다. 그중에서 지구의 위성인 달만이 옛날부터 알려져 있던 천체이고, 목성의 4개의 밝은 위성은 1610년 당시 갓 발명된 망원경을 사용하여 갈릴레오 갈릴레이 발견하였기 때문에 갈릴레오 위성이라고 불리고 있다. 나머지 위성은 그후에 발견된 것이다. - O

18. 카세그레인식은 촛점거리에 비해 경통길이가 짧고 대상물을 향해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그러나, 주경의 중앙에 구멍을 뚫어야하고 쌍곡면 부경의 연마와 조정이 어렵다는 결점이 있다. - O

19. 스스로 빛을 내며 타고있는 항성들도 전에는 항성이 아닌 상태에서 항성으로 진화했으며, 언제까지고 항성으로 남아있지는 않을 것이다. 스스로 핵융합반응을 통해 엄청난 에너지를 끊임없이 우주공간으로 방출하는 항성(별)이 영원하다고 하면 분명 모순일 것이다. 크고 밝은(절대등급) 별일수록 그 수명은 짧아진다. - O

20.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의 수는 그 크기가 클수록 밝다. - X
  ;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의 수는 그 크기가 클수록 어둡다. 우리가 보통 육안으로는 6등급 정도까지 볼 수 있다고 하는데 가장 밝 게 빛나는 시리우스는 -1.47등급이다. 보름달은 -12등급, 태양은 -27등급이다. 1등급과 2등급의 차이는 2.5배이며 1등과 6등의 차이는 100배 정도 밝은 것이 된다.

21. 95년 7월에 목성과 충돌한 혜성의 이름은 스위프트 터틀혜성이다. - X

22. 우리나라에서 맨눈으로 보이는 은하는 대 마젤란 은하다. 답=X

23. 백조자리에 있는 북아메리카 성운은 NGC6000이다. 답=X

24. 태양의 표면 온도는 6000도이고 흑점의 온도는 4000도이다. 답=O

25. 인류가 처음 발견한 블랙홀의 위치는 은하계 중심에 위치해 있다. 답=X

26. 지금 '헤라클레스 자리'라 불리는 별자리는 그 이름의 생기기 전에는 '방망이를 들고 있는 사나이'라 불리었다. 답=X

27. 이중성 중에 가장 아름답기로 유명한 알비레오는 백조자리의 베타성이다. 답=O

28. 남쪽 물고기 자리의 알파별 포말하우트는 붉은색이다. 답=X

29. 지구로부터 북극성까지의 거리는 800광년이다. 답=X

30. 거문고자리의 알파별 베가는 우리나라에서 견우성으로 불린다. 답=X

31. 직녀성은 앞으로 8천년 후에 북극성이 된다. 답=X

32. 지금으로부터 5천년 전에는 용자리의 알파별이 북극성이었다. 답=O

33. 시력 측정의 별로 유명한 미자르와 알코르는 겉보기 이중성이다. 답=O

34. 우리나라에서 보이는 별자리 중에서 가장 작은 별자리는 돌고래 자리이다. 답=X

35. 행성상성운으로 유명한 가락지성운은 독수리 자리에 있다. 답=X

36. 여름철 대삼각형은 알타이르, 베가, 안타레스이다. 답=X

37. 지난 1987년에 폭발한 초신성은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폭발했다. 답=X

38. 얼마전 보도에 의하면 토성의 위성이 또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로써 토성의 위성 갯수는 15개이다. 답=X

39. 알코르와 미자르는 시력이 1.0~ 1.5인 사람에게 보이며 거기에서 통과한 사람이 알비레오가 두개로 나뉘어 보이면 1.5~2.0 의 시력을 갖는다고 한다. 답=X

40. 수성은 59일만에 공전을 한다. 답=X

41. 금성의 표면 기압은 지구의 90배이다. 답=O

42. 금성의 자전은 지구와 같은 서에서 동으로 움직인다. 답=X

43. 견우성은 1년에 한번 자전한다. 답=X

44. 금성의 자전주기는 225일이고 공전은 243일이다. 답=X

45. 금성과 수성은 달과 같은 위상 변화가 있다. 답=O
46. 금성과 수성에는 위성이 없다. 답=O

47. 화성에는 태양계에서 제일 높은 화산이 있다. 답=O

48 화성을 비롯한 외행성들을 지구에서 볼때, 관측조건이 제일 좋을때는 '합'일 때이다.-X

49. 지구형 행성 중 제일 큰 행성은 화성이다. 답=X

50. 목성형 행성 중 제일 큰 행성은 해왕성이다. 답=X

51. 목성형 행성의 주요 성분은 수소와 핼륨이다. 답=O

52. 목성에 있는 대적반은 활화산이다. 답=X

53. 목성의 대적반을 발견 한 사람은 뉴턴이다. 답=X

54. 토성 고리(테)의 주성분은 암석과 얼음 덩어리이다. 답=O

55.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는 대기를 가지고 있다. 답=O

56. 목성형 행성에는 토성 같이 고리(테(띠))를 가지고 있다. 답=O

57. 천왕성을 발견한 사람은 뉴턴이다. 답=X

58. 천왕성의 공전주기는 84년이다. 답=O

59. 해왕성을 발견한 사람은 윌리엄 허셸이다. 답=X

60. 해왕성에도 목성과 같은 큰 점이 있다. 답=O

61. 명왕성은 태양으로부터 59억km 떨어져 있다. 답=O

62.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제일 큰 행성이다. 답=X

63. 명왕성의 위성 수는 1개이다. 답=O

64. 혜성은 주로 암석과 얼음으로 되었다. 답=O

65. 유성군 중 33년마다 대 유성우를 내리는 유성군은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이다. 답=X

Ⅱ. 망원경

1.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 2)
( )을 맞춘다는 것은 망원경의 회전축의 하나인 적경축을 지구의 자전축과 평행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1)장축 2)극축 3)북극 4)남극

2. 최초의 망원경을 만든 사람은 네델란드의 안경제작인 Jan Lippershey였다. 그러나 이 망원경은 천체관측용이 아니었다. 최초의 천체망원경을 만든사람은 갈릴레오 갈릴레이였다. 그는 이 망원경으로 목성의 4개 위성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이 망원경은 시야가 좁은 결점을 갖고 있다. 그 후 갈릴레이의 망원경의 망원경의 결점을 보완한 두 개의 볼록렌즈로 된 망원경을 고안한 사람은 누구일까요? - 3)
1) 뉴턴 2) 티코 브라헤 3) 케플러 4) 핼리

3. F수란 미러의 초점거리를 미러의 지름으로 나눈 값입니다. 그러면 F가 4이고 미러의 지름이 12cm인 망원경이 있다면 이 미러의 초점거리는 얼마일까요? - 4)
1) 36cm 2) 3cm 4) 16cm 4) 48cm

4. 다음 중 반사식 망원경이 아닌 것은? - 4)
1)뉴턴식 2)카세그렝인식 3)쿠드식 4)막스토브식

5. 망원경이 만들어지기 시작한 초기에 해당하는 17세기에는 대물렌즈를 볼록렌즈 하나만 사용했기 때문에 색수차가 생겨서 상이 선명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배율이 높은 망원경을 만든 방법은 무엇일까요? - 3
1) 대안렌즈로 오목렌즈를 사용한다.
2) 대안렌즈로 볼록렌즈를 사용한다.
3) 초점거리가 긴 렌즈를 사용한다.
4) 천장 프리즘을 사용한다.

6. 현재 많이 사용되는 망원경의 종류는 굴절 식은 케플러식, 반사는 뉴튼식과 카세그레인식이다. 다음 중에서 상의 종류가 나머지 셋과 달리 정립상인 것은 무엇일까요? - 1
1) 그레고리식 2) 케플러식 3) 뉴튼식 4) 카세그레인식

7. 우리가 좋은 망원경이라고 하면 배율이 큰 망원경보다는 구경이 큰 망원경을 일컫는다. 왜 높은 배율보다 큰 구경이 더 필수적인가? - 1
1)고배율에서는 시야가 어둡기 때문에 대상을 좀 더 밝게 보기 위하여
2)대상들이 고배율로 보면 일부분밖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3)구경이 커지면 배율도 따라서 커지므로
4)보통 망원경은 F수가 작아서 고배율로 얻기 힘들기 때문에

8. 소형 뉴튼식 반사망원경의 미러는 곡면이 이것으로 형성되어 있죠.  - 1)
1) 포물면 2) 구면 3) 평면 4) 사면
9. 감도 200-400 사이의 필름을 무엇이라 부르나요? - 1)
1)고감도 2)초고감도 3)초저감도 4)저감도

10. 망원경에서 렌즈나 거울의 광학적인 결함으로 인해 생기는 것을 수차라고 부릅니다. 주로 굴절망원경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초점면이 한 곳에 맺히지 않는 수차를 무엇이라 부르나요? -4)
1) 색수차 2) 왜곡수차 3) 상면만곡수차 4) 구면수차

Ⅲ. 별자리

1. 위의 세 별과 함께 처녀의 다이아몬드를 이루는 별은?(사냥개 자리의 α별) - 1
1)Cor Caroli 2)메시에 3)베가 4)스피카

2. 음력 7월 7일이 되면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아름다운 전설이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부르는 견우성이란 독수리 자리의 알타이르라는 별입니다. 그럼, 직녀성에 해당하는 별은 거문고 자리의 무슨 별일까? - 4)
1) 스피카 2) 안드로메다 3) 알페라츠 4) 베가

3. 폴란드사람인 헤벨리우스(1611-1687)가 "삵쾡이 같은 눈을 갖지 않으면 찾을 수 없는 별자리"라고 말하고, 최근에 만들어진 별자리 이름은 무엇일까요? - 1)
1) 삵쾡이 자리 2) 남십자 자리 3) 머리털 자리 4) 토끼자리

4. 다음 중 가을철의 별자리가 아닌 것은? - 2)
1)삼각형 자리 2)방패 자리 3)양자리 4)도마뱀 자리

5. 황소자리의 플레이아데스의 잃어버린 한 자매로서 큰곰자리의 알골에 정착했다고 하는 여자의 이름은 무엇일까요?(나디아에서 노틸러스호의 부선장 이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반대말) - 3)
1) 안드로메다 2) 미자르 3) 일렉트라 4) 히드라

6. 다음 중 은하수를 통과하지 않는 별자리는? - 3)
1)백조자리 2)페르세우스자리 3)왕관자리 4)카시오페이아자리

7. 황도 12궁의 마지막 별자리고 안드로메다자리와 페가수스자리 동남쪽에 있는 별자리로서 춘분점을 가리고 있는 별자리는? - 1)
1) 물고기자리 2) 사자자리 3) 처녀자리 4) 고래자리

8. 하늘에서 가장 큰 별자리는 바다뱀자리(Hydra)입니다. 그렇다면 가장 작은 별자리는 무엇일까요? - 3)
1)육분의 자리 2)안드로메다자리 3)남십자자리 4) 백조자리

9. 이 별자리는 황도 12궁에서 7번째 별자리로서, 이 자리가 생긴 것은 기원전 46년의 일로 그 당시에 태양은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추분날에 이 별자리를 지나갔다고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별자리의 이름이 생기게 되었는데 이 별자리의 이름은 무엇인가? - 2
1)황소자리 2)천칭자리 3)조각실 자리 4)페르세우스자리

Ⅳ. 성운, 성단, 은하

1. 성간 물질을 전리시킬 수 있는 에너지보다 작은 에너지를 주위의 별빛으로부터 받아서 단지 밝게 보이는 성운은? - 3)
1) 암흑성운 2) 발광성운 3) 반사성운 4) 먼지성운

2. 헤르츠슈프렁과 러셀이 만든 표로 가로축을 색지수, 세로축을 절대광도로 표시한 표를 뭐라고 부르는가? - 1
1) H-R도 2) 히스토그램 3) 자이델 표 4) 광도표

3. 1054년 7월 4일에 나타난 최초로 발견된 초신성의 잔해로써 현재는 1초의 1600km의 속도로 팽창하고 있는 가스구름인 게 성운은 메시에 번호 몇 번일까요? -4)
1) 33번 2) 45번 3) 27번 4) 1번

4. 오리온 자리에 있는 대표적인 발광성운으로 M42, M43(오리온 대성운)의 가장 밝은 부분에 있는 다중성계로써 사다리꼴로 보이는 네 개의 별의 집단을 무엇이라 부를까요? - 3
1) 플라이아데스 2) 히아데스 3) 트라페지움 4) 알비레오

5. 안드로레다자리에 있는 메시에 목록의 하나로 M32, M110과 함께 있는 것으로써 우리은하로터 220만광년 떨어져 있고 지름이 11만광년이나 되는 거대한 은하로 허블의 은하분류상 Sb형에 속하는 이 은하는? - 1
1) 안드로베다 은하 2) 솜브레로 은하 3) 섬 은하 4) 허블 은하

6. 게자리 안에 있는 유명한 산개성단으로 여물통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이름이 나온 성단의 이름은? - 3)
1) 플레이아데스 성단 2) 히아데스 성단 3) 프레세페성단 4) 이중성단

7. 메시에 목록에 들어가지 않는 몇 안되는 멋진 대상으로 NGC869, NGC884라는 이름으로 나와있는 이중 성단이 있는 별자리는? - 4
1)게자리 2)안드로메다자리 3)황소자리 4)페르세우스자리

8. 은하계 주위를 공전하는 동반은하로 지구로부터 16만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계에 가장 가까운 은하는? - 1
1)마젤란 대성운 2)안드로메다은하 3)게성운 4)나선은하

9. Deepsky Object의 목록 중에서 우리가 가장 친근하게 접하고 있는 메시에 목록은 프랑스의 천문학자 찰스 메시에의 의해 만들어졌다. 메시에가 만든 목록은 103번까지였으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목록은 몇 개의 대상이 추가되었다. 그렇다면, 현재 사용하는 목록은 몇 번까지일까? - 2
1)109번 2)110번 3)111번 4)112번

10. 지금도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습니다. 1929년 당시로서는 세계에서 제일 큰 망원경으로 은하를 관측하여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과학자는 누구일까요? - 4
1) 허셜 2) 아인슈타인 3) 디락 4) 허블

11. 이 성단은 산개성단(산개성단은 젊은 별들의 집단)의 대표적인 것으로 맨눈으로 봐도 여섯개의 별들이 보일 정도로 밝은 산개성단입니다. 이 성단에서 U.F.O를 타고 외계인들이 왔다는 소문도 있지요. 칠자매별, 좀생이별이라고 불리는 이 성단은 무엇일까요? - 1
1) 플레이아데스 성단 2) 히아데스 성단 3) 프레세페 성단 4) 이중 성단

12. 이 성운은 행성상 성운 중 유명한 성운으로 작은여우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성운을 우리나라에선 사과 같다고 해서 먹다버린 사과, 혹은 아령성운이라고도 불리우는데요. 이 성운의 메시에 번호는 몇 번일까요? - 2)
1) M57  2) M 27 3) M44 4) M81

Ⅴ. 태양계

1. 다음 중 목성의 위성이 아닌 것은? - 4
1)이오 2)히말리아 3)가니메다 4)호성

2. 다음 중 토성의 위성이 아닌 것은? - 3
1)타이탄 2)판도라 3)우아 4)디오네

3. 행성들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 1)
1) 명왕성 2) 천왕성 3) 해왕성 4) 수성

4. 다음 중 대기가 존재하지 않은 행성은 무엇일까요? - 1
1) 수성 2) 금성 3) 목성 4) 토성

5. 망원경을 사용해서 달표면을 처음으로 관측한 사람은? - 1
1)갈릴레이 2)뉴튼 3)케플러 4)최우식

6. 달표면에서 볼 수 있는 부분은 월령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달의 보이는 쪽은 항상 변하지 않는다. 이것의 이유는 무엇일까요? - 3
1) 달의 공전속도가 자전속도의 세배 이기 때문에
2) 달의 공전속도가 자전속도의 두배 이기 때문에
3) 달의 공전속도와 자전속도가 같기 때문에
4) 달의 공전속도가 자전속도의 0.5배 이기 때문에

7. 태양도 자전을 한다. 그러나 태양은 고체가 아니라 기체 덩어리이므로 모든 곳에서 갖속도가 일정한 고체회전을 하지 않는다. 태양에서 가장 빨리 자전하는 곳은 어느 부분일까요? - 2
1)북극 3) 북반구 중위도 2)적도 3)남극

8. 달의 표면을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때의 월령은? - 2
1)1-4 2)7-10 3)13-16 4)21-24

9. 월령은 삭으로부터의 시간을 하루 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음력으로 한달을 나타내는 것은 다음중에서 어느것인가? - 2
1)합과 다음 합사이 2)삭과 다음 삭사이 3)삭과 합사이의 두배 4)30일

10. 음력의 특징은 24절기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엄밀히 말해서 12절기와 12중기를 합해 24절기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 2
1)1년을 24등분한 것
2)황도를 24등분한 것
3)음력 한달을 둘로 나눈 것
4)양력으로 정해져 있는 날짜

11. 토성은 그 고리로 유명한 별이다. 그런데 토성의 고리는 연속적인 빛의 고리가 아니라 검은 선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이 검은 선 명칭은 무엇인가? -3
1) 오르트 구름 2) 카이퍼 벨트 3) 카시니 간극 4) 블랙벨트

12. 태양계의 행성은 대부분 황도면을 따라 공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행성은 혼자만 독하게 황도면을 따르지 않고, 꿋꿋히 자기 맘대로 돌고 있다. 이 행성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4
1)토성 2)천왕성 3)해왕성 4)명왕성

13. 지구는 서에서 동으로 자전을 한다. 달도 서에서 동으로 자전을 한다. 행성과 그 위성은 대부분 같은 방향으로 자전을 한다. 그런데 또 혼자서만 독하게 행성의 자전 방향과 반대로 열심히 돌고 있는 위성이 있다. 그런 골치거리를 갖는 행성은 무엇일까요? -3
1)토성 2)천왕성 3)해왕성 4)명왕성

14. 태양의 광구 밑층에서 일어나는 열대류 현상으로 생긴 무늬로, 수명은 평균 5-10분이다. 이것을 무엇이라 부르는가? - 1
1) 쌀알 무늬 2) 흑점 3) 플레어 4) 홍염

15. 지난 1846년 9월 23일에 영국에 당시 수학과 대학생이었던 애덤스와 프랑스의 젊은 수학자였던 르베리에가 수학적으로 계산하여 발견한 행성입니다. 그러나 이 행성이 발견되고나서 보니 그 행성이 발견되기 233년 전에 갈릴레이도 이 행성을 두 번이나 봤다는 기록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갈릴레이는 이 행성이 새로운 행성인 줄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놓치고 말았다고 합니다. 이 행성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3
1) 토성 2) 천왕성 3)해왕성 4) 명왕성

16.이 혜성은 주기를 갖는 혜성으로 지난 1992,3년 까지 지구를 방문한 혜성이죠. 이 혜성은 그 당시에 계산한 결과 120년 주기를 가진 혜성이라고 나왔는데, 천문학자들이 계산한 결과 앞으로 다시 올 때는 이 혜성이 지구에 부딪힐 것이라고 해서 떠들썩하게했던 혜성입니다. 페르세우스 유성군의 모(母)혜성이기도 한 이 혜성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 4
1) 헤일-밥 헤성 2) 햐쿠타케 혜성 3) 핼리 헤성 4) 스위프트 터틀 Ⅲ. 천문

17. 행성의 평균거리에 관한 티티우스의 자료를 발표하여 티티우스 (  ) 법칙을 만들어 소행성의 발견에 지대한 공을 끼친 사람은? - 2)
1) 케플러 2) 보데 3) 뉴턴 4) 오르트


[뒤로] [처음]